저성장 시대, 은행권 상생금융이 혁신산업 성장의 핵심 동력 될 수 있을까? - 금융연구원 전망 분석

2025-05-19
저성장 시대, 은행권 상생금융이 혁신산업 성장의 핵심 동력 될 수 있을까? - 금융연구원 전망 분석
이데일리

최근 국내 주요 경제 싱크탱크들이 2024년 경제 성장률을 0%대로 낮춰 잡으며 경제 침체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한국금융연구원과 한국개발연구원(KDI) 모두 올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0.8%로 전망하며, 어려운 경제 상황이 지속될 것이라는 비관적인 전망을 제시했습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한국 경제의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하는 것이 시급하며, 은행권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특히, 혁신산업은 미래 성장 가능성이 높은 분야로 주목받고 있지만, 초기 자금 부족이라는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이러한 혁신산업에 자금을 지원하는 ‘상생금융’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는 이유입니다. 상생금융은 은행이 기업 간, 기업과 정부 간 협력을 지원하는 금융 상품으로, 혁신산업의 기술 개발, 사업 확장, 해외 진출 등을 돕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금융연구원은 보고서에서 은행권이 상생금융을 적극적으로 확대하여 혁신산업에 자금을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단순히 돈을 빌려주는 것을 넘어, 기술력과 성장 가능성이 높은 혁신기업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와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또한, 혁신산업 생태계 전반을 지원하기 위해 정부와의 협력을 강화하고, 금융 지원뿐만 아니라 컨설팅, 네트워킹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고 제언했습니다.

하지만 상생금융 활성화에는 넘어야 할 과제도 존재합니다. 혁신산업은 불확실성이 높고, 투자 회수 기간이 길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은행은 혁신산업에 투자할 때 리스크 관리에 더욱 신경 써야 하며, 정부는 보증 지원 등 다양한 정책적 지원을 통해 은행의 부담을 덜어줘야 합니다. 또한, 상생금융 상품의 다양화를 통해 다양한 혁신기업의 니즈를 충족시켜야 합니다.

결론적으로, 저성장 시대에 한국 경제의 활력을 되찾기 위해서는 은행권의 적극적인 상생금융 확대가 필수적입니다. 은행은 혁신산업에 대한 투자와 지원을 통해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한국 경제의 미래를 밝혀나가야 할 것입니다. 정부 또한 은행의 역할을 지원하며, 혁신산업 생태계 구축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합니다.

추천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