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소득층 대상 상호금융 비과세 축소: 금융권 '안도' 속 자금 이탈 우려 여전

정부의 2025년 세제 개편안 발표 이후 금융권의 긴장감이 다소 누그러지고 있습니다. 특히 상호금융권은 비과세 혜택이 완전히 폐지될 수 있다는 우려에서 벗어나면서 안도하는 분위기입니다. 하지만 고소득층 대상 비과세 축소 조치가 예·적금 자금 이탈을 막을 수 있을지, 금융권의 시선은 여전히 엇갈리고 있습니다.
세제 개편안의 주요 내용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세제 개편안에 따르면, 고소득층을 대상으로 하는 상호금융 비과세 혜택이 축소될 예정입니다. 구체적인 축소 폭과 대상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지만, 고소득층의 경우 비과세 한도가 줄어들거나, 세금이 부과될 가능성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정부가 소득 불균형 해소와 세수 확보를 위해 추진하는 정책의 일환입니다.
상호금융권의 반응: 안도와 우려의 공존
상호금융권은 비과세 폐지까지 예상했던 만큼, 이번 세제 개편안 발표에 다소 안도하는 분위기입니다. 그러나 고소득층 대상 비과세 축소는 여전히 예·적금 고객의 이탈을 야기할 수 있다는 우려도 존재합니다. 특히 금리 인상 기조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더 높은 금리를 찾아 금융기관을 옮기는 고객들이 늘어날 가능성이 있습니다.
자금 이탈 제한적일까? 금융권의 전망
금융권 관계자들은 대체로 자금 이탈이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상호금융은 예·적금 상품을 통해 안정적인 자금 확보에 기여해 왔으며, 오랜 기간 동안 쌓아온 고객 충성도가 높기 때문입니다. 또한, 상호금융은 조합원에게 배당금을 지급하는 등 다른 금융기관에서는 경험하기 어려운 차별화된 혜택을 제공하고 있어, 고객 이탈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라는 분석입니다.
향후 전망 및 과제
정부의 세제 개편안 발표는 상호금융권에 새로운 도전 과제를 제시했습니다. 고소득층 대상 비과세 축소에 따른 자금 이탈 가능성에 대비하고, 고객 충성도를 유지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상호금융권은 경쟁력 있는 금리 상품 개발, 디지털 금융 서비스 강화, 고객 맞춤형 상품 제공 등 다양한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입니다. 또한, 정부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세제 개편안의 세부 내용을 조율하고, 상호금융의 건전한 발전을 위한 지원을 이끌어내는 것도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