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그룹, 총수익스와프(TRS) 논란…공정위 65억원 과징금 부과에 ‘정당한 금융거래’ 반박

2025-07-16
CJ그룹, 총수익스와프(TRS) 논란…공정위 65억원 과징금 부과에 ‘정당한 금융거래’ 반박
쿠키뉴스

CJ그룹, 총수익스와프(TRS)를 활용한 자본 조달에 대한 공정위 제재에 격렬하게 반발

공정거래위원회가 CJ그룹의 계열사 간 총수익스와프(TRS) 거래를 ‘부당 지원 행위’로 판단하고 65억원대의 과징금을 부과하면서 논란이 뜨겁습니다. CJ그룹 측은 이에 대해 “정당한 금융거래였다”며 강력하게 반박하고 있습니다.

공정위의 결정: 부실 계열사 지원 의혹

공정위는 17일 CJ그룹 계열사 간 TRS 거래를 면밀히 조사한 결과, 부실 계열사에 자금을 부당하게 지원한 것으로 판단했습니다. TRS는 기업이 자금 조달을 위해 기초 자산(주식, 채권 등)의 수익률에 연동하여 대출을 받는 거래 방식입니다. 공정위는 CJ그룹이 TRS를 통해 재무 상태가 취약한 계열사에 자금을 지원하여 공정한 경쟁을 저해했다고 보고 있습니다.

CJ그룹의 반박: 정당한 금융 거래

이에 CJ그룹은 “TRS 거래는 시장 금리 등을 고려하여 정당하게 이루어진 금융 거래”라고 주장하며, 공정위의 결정을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CJ그룹은 이번 과징금 부과가 경영 활동의 자유를 침해하는 것이라고 지적하며, 적극적으로 법적 대응을 할 계획이라고 전했습니다.

TRS 거래의 위험성과 계열사 지원 문제

TRS 거래는 기업의 자금 조달 수단으로 활용되지만, 기초 자산의 가치 변동에 따라 기업의 재무 건전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위험성이 존재합니다. 특히, 계열사 간 TRS 거래는 지배 구조를 이용하여 부실 계열사를 지원하는 수단으로 악용될 가능성이 있어 공정거래 당국의 감시 대상이 되고 있습니다.

향후 전망: 법적 공방 및 사업 영향

이번 공정위의 과징금 부과는 CJ그룹에 상당한 재정적 부담을 안겨줄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향후 법적 공방 과정에서 CJ그룹의 사업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공정위와 CJ그룹의 갈등이 장기화될 가능성이 있으며, 시장의 관심이 집중될 것으로 보입니다.

결론

CJ그룹의 총수익스와프(TRS) 거래와 관련된 공정위의 과징금 부과 결정은 기업의 자금 조달 방식과 계열사 간 공정한 거래 관계에 대한 중요한 시사점을 던져줍니다. 앞으로 기업들은 공정거래 규정을 준수하고 투명한 경영 활동을 통해 사회적 책임을 다해야 할 것입니다.

추천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