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새 정부 출범 전 금융안정 과제 일관 추진 강조: 부실PF, 가계부채, 자본시장 선진화 등

2025-05-29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새 정부 출범 전 금융안정 과제 일관 추진 강조: 부실PF, 가계부채, 자본시장 선진화 등
MTN 뉴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새 정부 출범 전 금융안정 과제 일관 추진 강조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다가오는 새 정부의 경기 회복에 집중할 수 있도록 부실 PF 정리, 가계 부채 관리, 소상공인 지원, 자본시장 선진화, 금융안정 등 주요 현안 과제를 정치적 영향력 없이 일관되게 추진할 것을 강조했습니다.

이 원장은 29일 오전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 직후 금융 상황 점검 회의를 주재하며 이 같은 입장을 밝혔습니다. 회의에서는 새 정부의 고령화 사회 대응, AI 규제 혁신, 디지털 자산 생태계 조성 등 미래 금융 환경 변화에 대한 논의도 이루어졌습니다.

부실 PF 정리 및 가계 부채 관리의 중요성

이복현 원장은 특히 부실 PF(Private Placement Fund) 정리를 시급한 과제로 지적하며, 새 정부 출범 전에 관련 조치를 마무리하여 경제적 불확실성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또한, 가계 부채 증가세 억제와 취약 계층 지원을 통해 가계의 재정 건전성을 확보하는 것도 중요한 목표임을 언급했습니다.

소상공인 지원 및 자본시장 선진화

소상공인 지원에 대해서는 금리 인하와 더불어 정책 자금 지원 확대, 경영 컨설팅 제공 등 실질적인 지원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제안했습니다. 자본시장 선진화 방안으로는 투자자 보호 강화, 불공정 거래 근절, 시장 감시 기능 강화 등을 통해 건전하고 투명한 자본 시장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미래 금융 환경 대비: 고령화, AI, 디지털 자산

새 정부의 주요 과제인 고령화 사회 대응과 관련해서는 연금, 보험 등 금융 상품 개발 및 혁신을 통해 노후 소득 보장 체계를 강화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AI 규제 혁신에 대해서는 기술 발전과 혁신을 저해하지 않으면서도 소비자 보호와 금융 시스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균형 잡힌 규제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마지막으로, 디지털 자산 생태계 조성에 대해서는 관련 시장의 건전한 발전과 투자자 보호를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이 필요하다고 덧붙였습니다.

결론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의 이번 발언은 새 정부 출범 전 금융 시장의 안정과 미래 금융 환경 변화에 대한 대비를 위한 중요한 메시지로 해석됩니다. 금융 당국은 앞으로도 이러한 과제들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며, 경제 성장과 금융 안정의 조화를 이루기 위해 노력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추천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