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MZ세대가 극찬했지만…'가격'만은 예외? 한 제품 품질 vs. 가격 경쟁력 분석

2025-06-26
중국 MZ세대가 극찬했지만…'가격'만은 예외? 한 제품 품질 vs. 가격 경쟁력 분석
노컷뉴스

중국 내 20~30대, 일명 MZ세대의 한국 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지만, 가격 장벽은 여전히 높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한국무역협회 상하이지부의 최근 조사에 따르면, 이들은 한국 제품의 우수한 품질을 인정하면서도, 중국 제품 대비 높은 가격에 아쉬움을 표했습니다.

MZ세대의 뜨거운 관심, 어디까지?

지난 26일 한국무역협회 상하이지부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20~30대 소비자들은 한국 제품의 디자인, 품질, 브랜드 이미지 등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습니다. 특히 K-뷰티, 패션, 가전제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한국 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한국 드라마, 영화, 음악 등 한류 콘텐츠의 영향력과 더불어, 한국 제품의 높은 품질과 혁신적인 디자인이 중국 젊은 소비자들의 취향을 저격했기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한 관계자는 “중국 MZ세대는 개성을 중시하고, 고품질의 제품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한국 제품은 이러한 니즈를 충족시키면서도, 트렌디한 디자인을 선보여 인기를 얻고 있다”라고 설명했습니다.

'가격'이라는 현실적인 장벽

하지만, 긍정적인 평가에도 불구하고, 가격 문제는 여전히 한국 제품의 중국 시장 확대를 가로막는 주요 장벽으로 지적됩니다. 중국 소비자들은 한국 제품의 품질을 인정하지만, 비슷한 기능과 디자인을 가진 중국 제품보다 비싸다는 점에 불만을 느끼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경쟁이 치열한 온라인 쇼핑몰에서는 더욱 가격 민감도가 높아, 저렴한 중국 제품에 비해 한국 제품의 판매가 어려워지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중국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가격 경쟁력 확보가 필수적이다. 품질 유지는 물론, 생산 비용 절감, 유통 채널 효율화 등을 통해 가격을 낮추는 노력이 필요하다”라고 조언합니다.

한국 제품의 미래는?

중국 MZ세대의 한국 제품에 대한 높은 관심은 긍정적인 신호입니다. 하지만, 가격 문제를 해결하지 않고는 지속적인 성장을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앞으로 한국 기업들은 중국 시장의 특성을 고려하여 가격 전략을 수립하고, 현지 소비자들의 니즈에 맞는 제품을 개발하는 등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입니다.

또한, 중국 정부의 규제 강화, 경쟁 심화 등 불확실한 요인에 대한 대비도 필요합니다. 끊임없는 혁신과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함으로써, 중국 시장에서 한국 제품의 경쟁력을 강화해 나가야 할 것입니다.

추천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