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상파 방송사, JTBC에 스포츠 중계권 판정패 후 '불공정 입찰' 가처분 신청… 법정 공방 예고

2025-05-09
지상파 방송사, JTBC에 스포츠 중계권 판정패 후 '불공정 입찰' 가처분 신청… 법정 공방 예고
PD저널

지상파 방송사 3사(KBS, MBC, SBS)가 JTBC에 주요 스포츠 중계권 확보에서 밀린 후, 중앙그룹의 입찰 과정에 ‘불공정’이 있었다며 법원에 가처분 신청을 제기했습니다. 이는 스포츠 중계권 분쟁이 법적 다툼으로 격화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번 소송의 배경은 2026년부터 2032년까지 동·하계 올림픽과 2026년, 2030년 FIFA 월드컵 중계권을 확보한 중앙그룹입니다. 지상파 방송사들은 중앙그룹을 상대로 공동 중계 방송권자로서의 지위를 인정받기 위해 법원에 나섰습니다.

지상파 방송사, 왜 법적 대응에 나섰나

그동안 지상파 방송사들은 주요 스포츠 중계권을 독점하며 막대한 광고 수익을 올렸습니다. 하지만 최근 JTBC를 비롯한 종편 방송사들이 적극적으로 스포츠 중계권 시장에 뛰어들면서 경쟁이 심화되었습니다. 이번 입찰에서 지상파 방송사들은 JTBC에 밀려 주요 스포츠 중계권을 놓치게 되면서, 입찰 과정에 문제가 있었다는 주장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지상파 방송사들은 중앙그룹의 입찰 과정이 특정 방송사를 위한 것이었다고 보고, 불공정 경쟁으로 인해 자신들이 정당한 기회를 박탈당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가격 경쟁력 외에 다른 요소들이 입찰 결과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을 제기하며, 투명하지 않은 과정에 대한 의혹을 제기하고 있습니다.

법원의 판단은?

법원은 지상파 방송사들의 가처분 신청에 대한 심리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법원의 판단은 향후 스포츠 중계권 시장의 판도를 가를 수 있는 중요한 분기점이 될 것입니다. 만약 법원이 지상파 방송사들의 주장을 받아들여 중앙그룹의 계약 체결을 막는다면, 스포츠 중계권 시장의 재편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미래의 스포츠 중계권 시장

이번 소송은 단순히 지상파 방송사와 JTBC의 갈등을 넘어, 스포츠 중계권 시장의 공정성 및 다양성을 둘러싼 논쟁을 촉발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 스포츠 중계권 시장은 더욱 치열한 경쟁이 예상되며, 다양한 플랫폼을 통해 스포츠 콘텐츠를 즐길 수 있는 환경으로 변화할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스포츠 중계권 분쟁을 해결하기 위한 제도적인 개선 방안 마련의 필요성이 제기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번 법적 공방의 결과에 따라 한국 스포츠 중계 시장의 미래가 어떻게 변화할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추천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