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K팝 '심리적 장벽' 여전…'한한령 해제' 기대감 속 '진통' 예상
한중 관계 개선 기대감 속에 '한한령' 해제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지만, 중국 내 분위기는 여전히 냉랭합니다. 실제로 중국 내 K팝 시장은 한국 아티스트 없이 중국 현지 아티스트만 활동하는 '한국인 없는 K팝' 현상이 나타나고 있어 우려를 낳고 있습니다.
최근 중국 정부는 한국 드라마, 영화 등 문화 콘텐츠에 대한 규제를 완화하려는 움직임을 보이며 '한한령' 해제 가능성을 시사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긍정적인 신호에도 불구하고, 현지 분위기는 쉽게 녹지 않고 있습니다. 특히 K팝 시장에서 두드러지는 현상은 중국 현지 아티스트만 활동하고, 한국 아티스트는 배제되는 '한국인 없는 K팝'입니다.
이는 단순히 규제 완화만으로는 해결될 수 없는 '심리적 장벽'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과거 '사드(THAAD,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사건'으로 인한 반한 감정이 여전히 남아있고, 중국 내 애국주의적 분위기가 강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중국 정부가 자국 문화 콘텐츠를 보호하고 육성하려는 정책적 의지를 가지고 있다는 점도 무시할 수 없습니다.
전문가들은 '한한령' 해제가 단번에 이루어지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하며, 중국과의 관계 개선 및 상호 이해 증진을 위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고 강조합니다. 또한, 중국 내 현지 아티스트와의 협력을 통해 시장을 확대하고, 중국 소비자들의 취향에 맞는 콘텐츠를 제작하는 등 다각적인 전략이 필요하다고 조언합니다.
베이징 정영태 특파원의 보도에 따르면, 현지에서는 여전히 한국 문화 콘텐츠에 대한 부정적인 시선이 존재하며, '한한령' 해제 이후에도 상당 기간 진통이 예상됩니다. 앞으로 한중 관계가 어떻게 발전해 나갈지, 그리고 K팝이 중국 시장에서 어떤 방식으로 자리매김하게 될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주요 내용:
- 한중 관계 개선 기대 속 '한한령' 해제 기대감 고조
- 중국 내 '한국인 없는 K팝' 현상: 현지 아티스트만 활동
- '사드 사건' 후반한 감정, 애국주의적 분위기, 중국 정부의 문화 보호 정책 등이 원인 분석
- 단번에 해제 어려울 전망, 관계 개선 및 상호 이해 증진 노력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