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물가 안정, 관세 영향은 아직? 트럼프 대통령의 압박이 숨겨진 이유

2025-08-12
미국 물가 안정, 관세 영향은 아직? 트럼프 대통령의 압박이 숨겨진 이유
SBS 뉴스

지난달 미국 소비자물가가 예상 밖에도 안정세를 유지하며 시장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현상이 관세 부과 효과가 아직 완전히 반영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분석합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기업과 금융계에 지속적으로 압박을 가하고 있는 점이 물가 안정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됩니다.

물가 상승 압력, 어디까지?

미국 노동부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월 대비 변동이 없었습니다. 이는 시장 전문가들이 예상했던 소폭 상승을 뒤엎는 결과입니다. 에너지 가격 하락과 더불어 의류, 중고차 가격 등 다양한 품목에서 가격 안정세가 나타나면서 물가 상승 압력이 다소 완화된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여전히 물가 상승에 대한 경계를 늦추지 않고 있습니다. 특히 미중 무역 갈등으로 인한 관세 부과가 본격화되면서 앞으로 물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우려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습니다. 실제로 일부 수입품 가격은 이미 상승하기 시작했으며, 이는 기업들의 생산 비용 증가로 이어져 소비자 물가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의 압박, 물가 안정에 기여?

이러한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이 기업과 금융계에 대한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는 점도 주목됩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기업들에게 미국 내 생산을 확대하고 해외 투자를 줄이도록 촉구했으며, 금융계에 대해서는 저금리 정책을 유지하도록 압박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압박이 기업들의 가격 인상 움직임을 억제하고 물가 안정에 기여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일각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이러한 행보가 대선 캠페인을 위한 전략적 움직임이라는 분석도 제기합니다. 물가 안정을 통해 경제 성과를 강조하고 유권자들의 지지를 얻기 위한 의도라는 것입니다.

향후 전망과 과제

전문가들은 앞으로 미국의 물가 상황이 관세 부과 효과, 글로벌 경기 둔화, 금리 인상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복합적으로 영향을 받을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따라서 물가 안정을 위한 정부의 정책적 노력이 더욱 중요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기업들은 생산 비용 증가에 대한 대비책을 마련하고, 소비자들은 합리적인 소비 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또한 정부는 물가 안정을 위한 정책적 노력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시장의 변동성에 대한 선제적인 대응책을 마련해야 할 것입니다.

뉴욕에서 김범주 특파원 보도였습니다.

추천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