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제조업, 10년 만의 성과에도 '기술 한계' 봉착? 첨단 기술 성장 발목 잡히는 이유

2025-07-21
중국 제조업, 10년 만의 성과에도 '기술 한계' 봉착? 첨단 기술 성장 발목 잡히는 이유
이데일리

중국 제조업, 10년 만의 도약과 한계

중국은 '제조 2025' 정책을 통해 지난 10년간 제조업 분야에서 눈부신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이 정책은 분야별 목표를 설정하고 성과를 비교 분석하여 중국 제조업의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했습니다. 하지만 1단계가 마무리되는 시점에서, 목표를 초과 달성한 분야도 있는 반면, 여전히 미진한 부분 또한 드러나면서 중국 제조업의 미래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제조 2025' 정책의 목표와 성과

2015년 중국 정부가 발표한 '제조 2025' 정책은 스마트 제조, 친환경 제조, 서비스형 제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을 추구했습니다. 그 결과, 로봇, 3D 프린팅, 신소재 등 첨단 기술 분야에서 상당한 발전을 이루었으며, 생산 효율성 향상과 제품 품질 개선에도 기여했습니다. 특히, 중국은 자국 기술력을 바탕으로 한 설비 투자 확대와 핵심 부품 국산화 노력을 통해 제조업 경쟁력을 강화했습니다.

첨단 기술 성장 발목을 잡는 '기술 종속'

그러나 '제조 2025' 정책의 성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가 산적해 있습니다. 특히, 첨단 기술 분야에서 외국 기술에 대한 의존도가 여전히 높은 것이 주요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반도체, 고정밀 기계, 핵심 소프트웨어 등 핵심 부품 및 기술의 상당 부분을 해외에서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글로벌 공급망 불안정 상황에서 중국 제조업의 경쟁력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기술 혁신 과정에서 지식재산권 침해 문제도 지속적으로 발생하며, 기술 개발 투자의 효율성을 떨어뜨리고 있습니다.

미래 중국 제조업의 과제와 전망

중국 제조업이 지속적인 성장을 이어가기 위해서는 첨단 기술 자립도를 높이는 것이 시급한 과제입니다. 이를 위해, 정부는 핵심 기술 개발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산학연 협력을 강화하여 기술 혁신 생태계를 조성해야 합니다. 또한, 지식재산권 보호를 강화하고, 기술 유출 방지를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합니다. 더 나아가, 서비스형 제조(Manufacturing-as-a-Service, MaaS)와 같은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제조업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해야 할 것입니다.

중국 제조업은 과거의 눈부신 성과를 바탕으로, 미래의 도전 과제를 극복하고 글로벌 제조업의 리더로서의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추천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