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웅제약, 폐섬유증 신약 '베르시포로신' 기술 반환... 향후 행보 주목

대웅제약, 폐섬유증 신약 후보물질 '베르시포로신' 기술 반환 결정
대웅제약은 CS파마슈티컬즈로부터 섬유증 치료제 후보물질인 '베르시포로신'에 대한 기술이전 계약 해지 의향을 공식적으로 통보받았다고 28일 밝혔습니다. 이번 결정으로 대웅제약은 베르시포로신 개발에서 발을 빼게 되었으며, 계약은 통보일로부터 120일 후 자동으로 종료될 예정입니다.
1000억원 규모 선급금은 반환하지 않아
대웅제약은 이번 기술이전 계약 해지에도 불구하고, 과거 기술 수출 계약 당시 수령했던 1000억원 규모의 선급금은 반환하지 않는다는 입장입니다. 이는 계약 조건에 따른 것으로 풀이됩니다. 투자자들은 이번 기술 반환 결정이 대웅제약의 신약 개발 전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우려를 표하며, 향후 대웅제약의 추가적인 발표를 주시하고 있습니다.
베르시포로신, 무엇이 문제였나?
베르시포로신은 특발성 폐섬유증 치료제로, CS파마슈티컬즈가 개발 중인 혁신 신약 후보물질입니다. 특발성 폐섬유증은 원인 없이 폐 조직이 흉터화되어 폐 기능이 점차 악화되는 질환으로, 아직까지 뚜렷한 치료법이 없는 상황입니다. 양사는 2023년 1월 베르시포로신의 중국 내 개발 및 상업화 권리를 기술이전하는 계약을 체결하며 큰 기대를 모았었습니다.
대웅제약의 향후 전략은?
이번 기술 반환 결정은 대웅제약에게 예상치 못한 변수로 작용했습니다. 대웅제약은 최근 몇 년간 신약 개발에 적극적으로 투자하며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자 노력해왔습니다. 베르시포로신 기술 반환 이후, 대웅제약은 새로운 파이프라인 구축 및 기존 사업 강화에 집중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대웅제약의 핵심 사업인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케이캡'의 글로벌 시장 확대에 더욱 박차를 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전문가 의견
제약업계 관계자는 “이번 베르시포로신 기술 반환은 신약 개발의 불확실성을 보여주는 사례”라며, “대웅제약은 이번 기회를 통해 더욱 신중하고 전략적인 신약 개발 포트폴리오를 구축해야 할 것”이라고 조언했습니다. 또한, “대웅제약의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케이캡’의 성공적인 글로벌 진출이 더욱 중요해진 시점”이라고 덧붙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