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대 위진홍 교수, 홀로토모그래피 기술로 세포 내 역동적 변화 규명! 신진연구 인프라 지원사업 선정
2025-07-09

헬스조선
세포소기관 연구의 판도를 바꿀 혁신적인 기술!
그동안 세포소기관의 역동적인 변화는 형태가 고정되지 않고 끊임없이 움직이기 때문에 실시간 분석의 어려움으로 인해 연구가 제한적이었습니다. 이러한 세포소기관의 결합, 해리, 신호전달 조절은 질병 발생과 깊은 연관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시간 분석 기술의 부족으로 인해 그 연구가 쉽지 않았습니다.
홀로토모그래피 기술, 세포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열다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위진홍 교수가 홀로토모그래피 기술을 활용하여 세포소기관의 역동성, 상호작용, 활성 기전을 규명하는 연구를 통해 이 난관을 극복하고자 합니다. 홀로토모그래피는 세포 내부의 3차원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얻을 수 있는 혁신적인 기술로, 기존 연구 방법으로는 파악하기 어려웠던 세포소기관의 움직임과 변화를 상세하게 관찰할 수 있게 해줍니다.
질병 진단 및 신약 개발에 기여할 가능성 높다
위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확보된 세포소기관 원천 기술을 질병 진단 및 치료 타겟 개발에 적용하고자 합니다. 특히, 세포소기관 이온 채널 연구는 생명 현상의 근본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위 교수의 연구는 미래 의료 패러다임 전환과 신성장동력 확보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미래 의료를 선도할 핵심 기술 확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신진연구자 인프라 지원사업 선정은 위 교수의 연구가 학문적 가치뿐만 아니라 실질적인 미래 의료 기술 개발에도 기여할 수 있다는 점을 인정받은 결과입니다. 위진홍 교수는 “세포소기관 이온 채널은 생명현상의 근본을 이해하는 중요한 연구 주제이며, 이 분야의 기술 선점은 미래 의료 패러다임 전환과 신성장동력 확보에 직결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연구의 기대 효과
- 세포소기관의 역동적인 변화 실시간 관찰 및 분석 가능
- 질병 진단 및 치료 타겟 개발에 활용
- 신약 개발 플랫폼 구축에 기여
- 미래 의료 패러다임 전환 및 신성장동력 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