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금융, 숫자만 키우면 안 된다! 윤종원 전 수석, '포용·혁신·생산성' 부족 지적 - SFS 포럼

디지털 전환 시대, 한국 금융은 양적으로 성장했지만, 혁신, 포용성, 생산성 측면에서 개선이 시급하다는 비판이 나왔습니다. 윤종원 KDI 초빙연구위원(전 청와대 경제수석)은 23일 서울 중구 을지타워에서 개최된 '제3차 싱귤래리티 금융 소통 포럼(SFS Forum)'에서 한국 금융의 현주소를 날카롭게 분석하며, 질적 성장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윤 위원은 포럼에서 “한국 금융은 규모 면에서는 크게 성장했지만, 진정한 의미의 혁신과 포용성을 제대로 이루지 못했다”고 지적했습니다. 특히 디지털 전환이라는 거대한 흐름 속에서 한국 금융이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틀을 깨는 혁신적인 시도가 필요하며, 금융 소외 계층을 위한 포용적인 금융 서비스 확충이 시급하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또한 한국 금융의 생산성 문제도 심각하다고 짚었습니다. “금융 시스템의 효율성이 떨어지고 불필요한 규제가 많아 금융 산업의 활력을 저해하고 있다”며, 규제 완화와 시스템 개선을 통해 생산성을 높여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주요 발언 요약:
- 한국 금융은 양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혁신, 포용성, 생산성 측면에서 부족
- 디지털 전환 시대에 경쟁력 확보 위한 혁신적 시도 필요
- 금융 소외 계층을 위한 포용적 금융 서비스 확충 시급
- 규제 완화 및 시스템 개선을 통한 생산성 향상 필요
이번 포럼은 싱귤래리티 금융(Singularity Finance)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며, 인공지능(AI)과 블록체인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한 금융 혁신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였습니다. 윤 위원의 발언은 한국 금융이 당면한 과제를 명확히 제시하고, 미래 금융 발전을 위한 중요한 논의를 촉발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특히, 디지털 전환 시대에 금융산업은 더욱 빠르게 변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금융기관들은 인공지능, 빅데이터, 블록체인 등 첨단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새로운 금융 상품과 서비스를 개발하고, 고객 경험을 혁신해야 합니다. 또한, 금융 소외 계층을 위한 포용적 금융 서비스를 확대하고, 금융 시스템의 안정성을 강화해야 합니다.
윤종원 위원의 이번 발언은 한국 금융이 질적 성장을 이루고, 미래 금융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중요한 지침이 될 것입니다. 앞으로 한국 금융이 어떤 방향으로 나아갈지 귀추가 주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