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 '이자 논쟁' 후폭풍... 금융권 '표정 관리' 왜? 역대급 실적에도 불안한 이유

국내 주요 금융지주사들이 상반기 동안 역대급 실적을 달성했지만, 이재명 대통령의 '이자 놀이' 발언 이후 어수선한 분위기 속에 표정 관리에 나서는 모습이다. 금융권의 핵심 수익 모델인 예대금리차를 이 대통령이 직접 언급하며 정치권의 압박이 거세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진 결과다.
지난 24일부터 KB금융, 신한금융, 하나금융지주 등 주요 금융지주사들이 연이어 실적 발표를 진행했다. 이들의 실적은 그 어느 때보다 괄목할 만하다. 금리 인상기에 예대금리차 확대로 수익성이 극대화된 결과로 분석된다. 하지만 이러한 호실적에도 불구하고 금융권 전반에 긴장감이 감도는 것은 이 대통령의 발언이 불러온 파장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재명 대통령은 최근 경제 관련 행사에서 금융기관들의 높은 이자 수익에 대해 “이자 놀이”라는 표현을 사용하며 비판적인 시각을 드러냈다. 이는 금융권의 수익 구조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으로, 정치권의 금융 규제 강화 논의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를 낳았다. 실제로 더불어민주당 등 야당에서는 금융기관의 과도한 이자 수익에 대한 감시 및 규제 방안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금융지주사들은 이러한 상황에 직면하여 적극적인 해명과 함께 사회적 책임 이행에 대한 의지를 표명하며 '표정 관리'에 나섰다. KB금융은 취약 계층 지원 확대 및 금융 상품 개선 등을 약속했고, 신한금융은 ESG 경영 강화 및 디지털 전환 가속화 계획을 발표했다. 하나금융지주는 사회공헌 활동 확대 및 금융 소비자 보호 강화 방안을 제시하며 위기 상황 타개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전문가들은 금융지주사들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정치권의 압박 수위가 높아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지적한다. 특히, 금리 인상 기조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예대금리차 축소는 불가피하며, 이는 금융지주사들의 수익성 악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따라서 금융지주사들은 단기적인 위기 상황을 극복하는 것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관점에서 지속 가능한 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을 병행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결론적으로, 이재명 대통령의 '이자 논쟁'은 금융지주사들에게 예상치 못한 도전 과제를 안겨주었다. 역대급 실적에도 불구하고 정치권의 압박과 수익성 악화 가능성에 직면한 금융지주사들은 위기 관리 능력을 발휘하여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새로운 전략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