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사기 피해 예방 총력! 카드사부터 금융기관까지 전방위 방어막 구축

2025-07-12
금융 사기 피해 예방 총력! 카드사부터 금융기관까지 전방위 방어막 구축
뉴시스

최근 금융 사기 수법이 갈수록 교묘해지면서 금융권 전반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카드 배송을 사칭하여 악성 앱을 설치하게 하거나, 대출을 빙자한 피싱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객을 속이는 금융 사기가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카드사의 적극적인 대응

A카드 고객 B씨의 사례는 금융 사기의 심각성을 여실히 보여줍니다. 범인은 카드 배송을 사칭하여 B씨의 스마트폰에 악성 앱을 설치하고, 지시에 따라 카드론을 신청하게 했습니다. 다행히 A카드는 이상거래 탐지 시스템(FDS)을 통해 이상 징후를 감지하고 고객에게 즉시 안내했습니다. 하지만 B씨는 카드론 지급을 지속적으로 요구하는 상황이었고, A카드는 탐지된 정보를 바탕으로 B씨를 설득하여 카드론 신청을 중단시키는 데 성공했습니다.

카드사들은 FDS를 강화하고,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여 의심스러운 거래를 신속하게 탐지하고 있습니다. 또한, 고객에게 SMS, 이메일, 앱 푸시 등을 통해 금융 사기 예방 교육을 실시하고, 금융 사기 피해를 입었을 경우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상담 센터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금융기관의 다각적인 노력

카드사뿐만 아니라 은행, 증권사 등 금융기관 전체가 금융 사기 예방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습니다. 금융감독원은 금융사기 피해 예방 강화를 위해 금융기관의 자체적인 보안 시스템 구축을 지원하고, 금융 사기 발생 시 신속하게 피해를 구제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고 있습니다.

금융기관들은 고객에게 금융 사기 예방 교육 자료를 제공하고, 금융 사기 유형별 대처 요령을 안내하는 등 고객 스스로 금융 사기를 예방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금융 사기 피해 발생 시 고객의 자금을 보호하기 위해 계좌 지급 정지, 카드 사용 정지 등의 조치를 신속하게 취하고 있습니다.

고객의 적극적인 참여가 중요

금융 사기 예방을 위해서는 금융기관의 노력뿐만 아니라 고객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수적입니다. 의심스러운 연락이나 메시지는 절대 응답하지 말고, 금융기관을 사칭하는 경우 공식적인 연락처를 통해 사실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또한, 개인 정보 보호에 유의하고, 비밀번호를 주기적으로 변경하는 등 보안 수칙을 철저히 준수해야 합니다.

금융권은 앞으로도 금융 사기 예방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며, 고객 여러분께서는 금융 사기 예방 수칙을 숙지하고 실천하여 안전한 금융 생활을 누리시길 바랍니다.

추천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