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 금융 이해력, 2년 만에 '빨간불'? 물가상승률 이해 부족에 OECD 평균에도 못 미쳐

2025-04-29
성인 금융 이해력, 2년 만에 '빨간불'? 물가상승률 이해 부족에 OECD 평균에도 못 미쳐
SBS 뉴스

성인 금융 이해력, 심각한 수준으로 하락…'물가상승률' 이해 부족이 주요 원인

최근 발표된 조사 결과에 따르면 한국 성인의 금융 이해력이 2년 새 눈에 띄게 하락했습니다. 특히 물가상승률과 같은 기본적인 경제 지표에 대한 이해 부족이 심각한 상황으로 드러나면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OECD 국가 간의 금융 이해력 비교에서도 한국은 뒷걸음질 쳤습니다. 3개 항목으로 구성된 금융 이해력 평가에서 금융 지식 점수는 73.6점, 금융 행위 점수는 64.7점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2022년 대비 각각 1.9점, 1.1점 하락한 수치입니다. 물론 OECD 평균(66.9점, 61.6점)보다는 높은 수준이지만, 하락세는 간과할 수 없습니다.

미래 대비 태도 점수, 소폭 상승에도 OECD 평균에는 미치지 못해

한편, 미래 대비와 관련된 금융 태도 점수는 53.7점으로 2022년(52.4점)보다 소폭 상승했습니다. 하지만 OECD 평균인 58.0점에는 여전히 미치지 못하는 수준입니다. 이는 미래에 대한 불안감 속에서도 적극적인 금융 준비가 부족하다는 점을 시사합니다.

연령대별 격차 심화…20대와 70대의 '금융 문맹' 우려

응답자 특성별 분석 결과, 연령대별 금융 이해력 격차가 더욱 심화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20대와 70대의 금융 이해력은 상대적으로 낮아 '금융 문맹'에 대한 우려를 낳고 있습니다. 젊은 세대는 급격한 사회 변화와 복잡한 금융 상품에 대한 이해 부족, 고령층은 디지털 금융에 대한 접근성 부족 등이 원인으로 분석됩니다.

금융 교육 강화 및 맞춤형 정보 제공 시급

전문가들은 이러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금융 교육 강화와 맞춤형 정보 제공이 시급하다고 강조합니다. 학교 교육 과정에서의 금융 교육 확대는 물론, 직장인, 주부, 노년층 등 각 연령층의 특성을 고려한 금융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합니다. 또한, 금융 상품 및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금융 사기 예방 교육을 강화해야 합니다.

물가상승률 이해 부족, 가계 경제 불안의 '숨겨진 위험'

특히 물가상승률에 대한 이해 부족은 가계 경제의 불안을 더욱 심화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물가상승률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면 실질 소득 감소를 인지하지 못하고, 소비를 줄이지 못해 재정적인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금융 교육을 통해 물가상승률의 영향과 대응 방안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조사 결과는 성인 금융 이해력 저하의 심각성을 다시 한번 일깨워줍니다. 정부, 금융기관, 교육기관 등 사회 각계각층의 노력을 통해 금융 이해력을 높이고, 건전한 금융 생활을 누릴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할 것입니다.

추천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