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정금리 인하, 포용금융 효과와 서민대출 축소 우려 사이의 줄타기

2025-06-07
법정금리 인하, 포용금융 효과와 서민대출 축소 우려 사이의 줄타기
이데일리

이재명 대통령의 취임과 더불어 법정최고금리 인하 논의가 다시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더불어민주당을 중심으로 법정금리 인하를 추진하려는 움직임이 감지되면서, 포용금융 실현이라는 목표와 서민대출 축소라는 부작용 사이에서 균형점을 찾는 것이 과제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법정금리 인하, 왜 다시 논의될까?

법정최고금리는 대출 금리가 넘을 수 없는 상한선을 의미합니다. 현재 법정최고금리는 신용대출의 경우 연 20%, 신용카드대출의 경우 연 24%입니다. 고금리 대출로 어려움을 겪는 서민들의 이자 부담을 줄이기 위해 법정금리 인하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꾸준히 있었습니다. 특히, 이재명 대통령은 과거 대선 후보 시절 법정금리 인하를 공약으로 내세운 바 있어, 이번 정부에서도 관련 논의가 본격화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포용금융 실현 vs. 서민대출 축소 우려

법정금리 인하가 포용금융 실현에 기여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측면이 있습니다. 고금리 대출을 이용하는 저신용자들이 이자 부담을 덜고, 금융 서비스 접근성을 높여 경제적 어려움을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반대로 법정금리 인하는 금융기관의 대출 의욕을 저하시켜 오히려 저신용자에 대한 대출 공급을 축소시킬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됩니다.

금융기관 입장에서는 법정금리가 낮아질수록 대출 금리 제한이 커지기 때문에, 리스크가 높은 저신용자에 대한 대출을 꺼리게 될 수 있습니다. 이는 결국 서민들의 금융 접근성을 더욱 악화시키고, 금융 불평등을 심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경제 상황에 따른 유연한 적용이 중요

전문가들은 법정금리 인하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포용금융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경제 상황에 따라 최고금리를 유연하게 적용해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예를 들어, 경제 상황이 어려운 시기에는 법정금리 인하 폭을 제한하거나, 저신용자에 대한 대출 보증 지원을 강화하여 금융기관의 대출 의욕을 높이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또한, 법정금리 인하와 함께 고금리 대출 이용자들의 채무 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적 지원 방안도 함께 마련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저금리 전환 대출 상품 확대, 채무 조정 프로그램 강화 등을 통해 서민들의 금융 안정성을 높이는 데 힘써야 합니다.

결론: 신중한 접근과 다각적인 대책 필요

법정금리 인하는 포용금융 실현을 위한 중요한 과제이지만, 동시에 서민대출 축소라는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는 만큼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경제 상황 변화에 따른 유연한 적용과 더불어, 고금리 대출 이용자들에 대한 다각적인 지원 방안을 마련하여 서민들의 금융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추천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