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 '경제형벌 합리화' 첫 논의… 과도한 제재 논란 해소될까?
2025-08-20

연합뉴스
정부가 금융 분야의 경제형벌 합리화를 위한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고, 관련 단체들과 첫 회의를 진행했습니다. 이번 회의는 과도하다는 비판을 받는 금융권 제재 수준을 점검하고, 실효성 있는 개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중요한 첫걸음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TF 구성 배경과 목표
최근 금융 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금융기관의 위법 행위에 대한 제재가 강화되는 추세입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과도한 제재가 금융기관의 영업 활동을 위축시키고, 결국 금융 시장 전체의 활력을 저해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어 왔습니다. 이에 정부는 경제형벌 합리화 TF를 구성하여 금융 분야의 경제형벌 제도의 실태를 점검하고, 개선 방안을 마련하기로 했습니다. TF는 법무부, 기획재정부, 금융위원회 등 관련 부처의 담당자들이 참여하고 있으며, 금융감독원, 한국금융투자협회, 은행연합회 등 금융업계 단체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정책 결정에 반영할 예정입니다.첫 회의 주요 내용
지난 20일 열린 첫 회의에서는 현재 금융 분야의 경제형벌 제도가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 그리고 그 효과는 어떠한지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습니다. 특히 금융업계 단체들은 과도한 제재로 인해 금융기관들이 규제 준수에만 몰두하고, 혁신적인 금융 상품 개발이나 서비스 제공에 소홀해질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또한, 제재 부과 기준의 객관성과 투명성을 높여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되었습니다. 현재 경제형벌 제재는 사안에 따라 제재 수준이 달라지는 경우가 많아, 예측 가능성이 낮고 형평성에 어긋난다는 지적이 있었습니다.향후 추진 계획
TF는 앞으로도 금융업계 단체들과 지속적으로 논의를 진행하며, 경제형벌 제도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 방안을 마련할 예정입니다. 개선 방안에는 제재 기준의 합리화, 제재 절차의 투명성 강화, 제재 이후 재발 방지 시스템 구축 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이번 경제형벌 합리화 TF 구성이 금융 시장의 건전성을 유지하면서도 금융기관의 영업 활동을 지원하는 균형점을 찾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또한, 과도한 제재에 대한 금융권의 불만이 해소되고, 금융 시장의 활력이 되살아날 수 있을지 주목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