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만 되면 찾아오는 우울감, 왜? 전문가가 알려주는 봄철 우울증 극복 방법
2025-04-17

헤럴드경제
따뜻한 햇살과 아름다운 꽃들이 만개하는 봄, 모두에게 희망찬 계절이지만, 아이러니하게도 봄철에는 우울감을 느끼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2022년 우리나라 우울증 환자 수가 100만 명을 넘어섰다는 통계는 우리 사회의 심각한 정신 건강 문제를 보여주는 단면입니다. 이러한 현상을 단순히 ‘우울한 사회’로 치부하기보다는, 정신 질환에 대한 인식 개선과 정신 건강 서비스 접근성 향상이라는 긍정적인 변화로 해석할 필요도 있습니다.
특히 봄은 ‘스프링 피크(Spring Peak)’라고 불리며, 자살률이 가장 높은 계절입니다. 왜 봄에 우울감이 심해질까요? 전문가들은 다음과 같은 원인들을 지목합니다.
봄철 우울증의 원인
- 일조량 변화: 봄이 되면 일조 시간이 늘어나면서 뇌의 생체 시계가 변화하고, 멜라토닌 분비가 감소합니다. 이는 기분을 조절하는 신경전달물질인 세로토닌의 불균형을 초래하여 우울감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계절성 정동 장애 (SAD): 특정 계절에 반복적으로 우울감을 느끼는 질환입니다. 봄철 우울증은 가을, 겨울철 우울증과는 달리 활력 저하, 불안, 초조함 등의 증상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사회적 압박감: 봄은 새로운 시작을 의미하며, 졸업, 입학, 취업 등 다양한 사회적 변화가 일어나는 시기입니다. 이러한 변화에 대한 압박감과 불안감이 우울감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 미적 압박감: 아름다운 봄 풍경과 활기찬 분위기 속에서 자신을 비교하며 느끼는 상대적 박탈감이 우울감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봄철 우울증 극복을 위한 방법
- 규칙적인 생활 습관: 규칙적인 수면, 식사, 운동은 생체 리듬을 안정시키고 기분 조절에 도움을 줍니다.
- 햇볕 쬐기: 햇볕을 쬐면 비타민 D가 생성되고 세로토닌 분비가 촉진되어 우울감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 긍정적인 생각: 긍정적인 생각과 감사하는 마음은 스트레스를 줄이고 행복감을 높여줍니다.
- 취미 활동: 좋아하는 취미 활동을 통해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즐거움을 느낄 수 있습니다.
- 전문가 도움: 우울감이 심각하거나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경우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와 상담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봄은 새로운 시작을 위한 희망찬 계절입니다. 봄철 우울증으로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적극적으로 극복해 나가시길 바랍니다. 긍정적인 마음과 건강한 습관을 통해 아름다운 봄을 만끽하시길 응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