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와 소득 따라 '건강 정보' 이해력 차이 컸다…70대, 20대보다 3배나 낮아

2025-08-07
나이와 소득 따라 '건강 정보' 이해력 차이 컸다…70대, 20대보다 3배나 낮아
엔터엔터(한국어)

나이와 소득 따라 '건강 정보' 이해력 차이 컸다…70대, 20대보다 3배나 낮아

건강 정보 이해력 수준이 연령과 소득 수준에 따라 현저한 격차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우려를 자아냅니다. 젊을수록 건강 정보를 더 잘 이해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20대 중에서는 무려 70.5%가 적절한 수준의 건강 정보 이해력을 갖추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70세 이상 고령층에서는 그 비율이 절반에도 못 미치는 36.0%에 그쳐, 연령이 증가할수록 건강 정보 이해력이 크게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는 고령층이 건강 정보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해 건강 관리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소득 수준 또한 건강 정보 이해력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소득 수준이 높을수록 건강 정보를 더 잘 이해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득 수준이 낮은 집단에서는 적절한 건강 정보 이해력을 가진 비율이 54.4%에 불과했습니다. 더욱 심각한 점은 중졸 이하 학력을 가진 65세 이상 고령층에서는 단 32.2%만이 적절한 수준의 건강 정보 이해력을 보였습니다.

이러한 격차는 건강 불평등을 심화시키고, 결과적으로 국민 건강 증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부와 관련 기관은 건강 정보 접근성을 높이고, 다양한 연령층과 소득 수준에 맞는 맞춤형 건강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건강 정보 이해력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입니다. 특히, 고령층과 저소득층을 위한 건강 교육 프로그램 강화가 시급합니다.

건강한 대한민국을 위해서는 모든 국민이 건강 정보를 쉽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한 사회적 관심과 투자가 필요합니다.

추천
추천